Sphinx Protocol 완전 가이드프로젝트 소개 · 에어드롭 구조 · XP 시스템 · 랭크 · 페어링 · 루틴까지 한 번에

1. 서론 – 왜 지금 Sphinx를 알아봐야 할까?
Sphinx Protocol은 2026년 1분기(Testnet 예정)를 목표로 하는 파생상품 프로토콜로, 이미 Pre-Testnet Campaign을 통해 공식적인 Airdrop Program 1단계를 시작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Sphinx를 처음 접하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개요 → 에어드롭 구조 → XP & 랭크 시스템 → Discord·Telegram 페어링 → 일일/주간 활동 루틴까지 전체 흐름을 정리합니다.
특히, 나중에 에어드롭을 노리는 입장에서는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중요하므로 실질적인 참여 전략 위주로 설명합니다.
2. Sphinx Protocol이란? – 에너지·원자재 Perp DEX
2-1. 프로젝트 핵심 컨셉
Sphinx Protocol은 에너지 및 원자재(Commodities)에 초점을 맞춘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Perpetual DEX)입니다. 기존 온체인 파생상품이 주로 BTC, ETH 같은 암호화폐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Sphinx는 다음과 같은 자산을 대상으로 합니다.
- 원유(Oil)
- 가스(Gas)
- 전력(Electricity)
- 기타 원자재(Commodities) 등
즉, 실물 경제에 가까운 자산의 파생상품을 온체인에서 24/7 거래하겠다는 목표를 가진 프로젝트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2-2. 하이브리드 구조 (Off-chain + On-chain)
Sphinx는 다음과 같은 하이브리드 구조를 사용합니다.
- 오프체인(Off-chain) 주문서 – CEX(중앙거래소)에 가까운 속도와 체감 체결 경험 제공
- 온체인(On-chain) 결제(Settlement) – PnL 정산, 포지션 상태, 담보 관리 등을 체인에 기록하여 투명성 확보
이를 통해 속도 와 투명성 두 가지를 동시에 잡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3. Sphinx가 지향하는 것
공식 자료에서 Sphinx는 스스로를 에너지·원자재 파생상품 시장을 위한 온체인 인프라로 정의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그림을 지향합니다.
- 기관급(Institutional-grade) 파생상품 거래 인프라
- 원자재·에너지·증권형 자산까지 확장 가능한 구조
- 온체인 결제·리스크 관리·마진 시스템
3. Sphinx 에어드롭 구조 – XP가 곧 토큰이 되는 시스템
Sphinx 에어드롭 프로그램은 단발성 이벤트가 아니라, “XP 누적 → 랭크 → Testnet XP 부스트 → 최종 에어드롭”까지 이어지는 장기 구조입니다.
3-1. 공식 에어드롭 파이프라인
공식 Medium 문서에서는 흐름을 다음과 같이 명시합니다.
Pre-Testnet XP → XP Bump → Testnet XP → Airdrop Amount
이를 풀어서 설명하면:
- 지금(Pre-Testnet) 활동으로 XP를 모은다.
- XP에 따라 랭크(Rank)가 정해지고, 상위 랭크는 XP 부스트(배수)를 얻는다.
- 이후 Testnet에서 동일한 행동을 해도 상위 랭크일수록 XP를 더 많이 받는다.
- 최종적으로 누적 XP가 곧 에어드롭 토큰 수량에 반영된다.
지금부터 쌓는 XP가 나중 에어드롭을 직접 결정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4. XP & 랭크 시스템 – 15단계 구조와 상위 5랭크의 의미
4-1. 15단계 랭크 개요
모든 참여자는 Rank 1에서 시작하며, 활동에 따라 Rank 15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랭크가 올라갈수록 커뮤니티 내 평판, Testnet 혜택, 그리고 에어드롭 기대치도 함께 상승합니다.
4-2. 상위 5랭크의 XP 부스트
특히 중요한 건 상위 5개 랭크(11~15)입니다.
| Rank | 이름 | Testnet XP 부스트 |
|---|---|---|
| 15 | Legendary Sphinx | +20% |
| 14 | Mythic Trader | +15% |
| 13 | Oracle | +12% |
| 12 | Pathbreaker | +8% |
| 11 | Explorer | +5% |
Rank 1~10은 XP 부스트는 없지만, 그래도 Testnet Early Access와 일부 특별 보상·인정은 받을 수 있습니다.
4-3. 왜 부스트가 중요한가?
예를 들어 Testnet에서 어떤 미션을 수행하면 일반 유저는 10 XP를 받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일반 유저: 10 XP
- Legendary Sphinx (Rank 15, +20%): 12 XP
같은 행동을 해도 상위 랭크는 XP를 더 받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 격차가 커지며 결국 최종 에어드롭 수량 차이로 돌아오게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5. XP는 어떻게 쌓나?
5-1. XP가 주어지는 활동
공식적으로 XP는 대략 다음과 같은 활동에 대해 지급됩니다.
- Discord에서 의미 있는 대화, 질문, 답변, 토론 참여
- Telegram에서 자연스러운 대화 및 정보 공유
- 공식 미션, 캠페인 참여 (Pre-Testnet Missions)
- AMA(Ask Me Anything) 참여
- X(Twitter)에서 공식 계정/콘텐츠와의 상호작용
- 콘텐츠 제작 (블로그 글, Medium 글, 스레드, 영상 등)
- 향후 추가될 Referral 시스템
5-2. XP 지급 타이밍
- Discord/Telegram 메시지 XP → 다음날 일괄 지급
- X(Twitter) 참여 XP → 다음날 지급
- 콘텐츠 제작 XP → 지정된 날짜에 배치(batch)로 일괄 지급
실시간으로 숫자가 오르지는 않고, 내부 계산 후 일괄 업데이트되는 구조입니다.
5-3. 스팸과 부정행위에 대한 정책
Sphinx 팀은 It’s not about farming — it’s about contributing 라는 메시지를 반복해서 강조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행동은 XP 지급에서 제외되거나, 심하면 아예 탈락 처리될 수 있습니다.
- 짧은 단답 반복 (예: “gm”, “hi”, “ok” 등)
- 봇/매크로를 이용한 자동 채팅
- 복수 계정을 통한 시스템 악용
- 의미 없는 이모지·스팸성 채팅
- 저품질·복붙형 콘텐츠 제출
6. Discord ↔ Telegram 페어링 – XP 받으려면 필수
Sphinx는 현재 Discord + Telegram 활동을 모두 XP에 반영합니다. 하지만, 두 계정을 페어링(pairing) 하지 않으면 두 플랫폼의 활동을 동일한 사람으로 인식할 수 없으므로 XP가 제대로 쌓이지 않습니다.
6-1. 전체 흐름 요약
- Telegram에서 자신의 숫자 User ID 확인
- Discord에서
/pair명령어 입력 - 봇이 요청하는 대로 Telegram User ID를 제출
- 연결 완료 메시지 확인
6-2. Telegram 숫자 User ID 확인 방법
- Telegram에서
@userinfobot검색 - Start 버튼 클릭
- 아래와 같은 형태의 메시지 확인:
Your Telegram ID: 123456789 Username: @yourname - 여기서 숫자로 된 부분(123456789)이 바로 Telegram User ID입니다.
6-3. Discord에서 /pair 명령어 사용
- Sphinx Discord 서버의 아무 채널(예:
#general)로 이동 - 채팅 입력 창에
/pair입력 후 엔터 - 봇 The Pyramid가 개인 메시지처럼 응답
- “Telegram ID를 보내라”는 안내가 나오면, 앞에서 확인한 숫자 ID를 그대로 전송
- 성공 시 “Your Telegram account has been paired”와 같은 완료 메시지 확인
7. Sphinx 에어드롭을 위한 XP 최적화 루틴 (10~20분/일)
아래 루틴은 시간 대비 효율을 기준으로 구성한 예시로, 학교/직장/업무와 병행하면서도 꾸준히 누적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로 설계했습니다.
7-1. Daily 루틴 (하루 10~15분)
| 행동 | 예상 소요 시간 | 목적 |
|---|---|---|
| Discord에서 의미 있는 메시지 3~5개 작성 | 약 5분 | XP 핵심 소스 |
| Telegram에서 자연스러운 대화 3~5회 | 약 5분 | 추가 XP 확보 |
| 다른 사람 메시지에 리액션 5~10개 | 1분 | 활성도·참여도 반영 |
#announcements 등 공지 채널 확인 |
1분 | 새 미션·이벤트 대비 |
/rank, /profile 등(출시 후)으로 상태 체크 |
1분 | 진행 상황 점검 |
7-2. Weekly 루틴
- 가능하다면 주 1회 이상 AMA에 참여해 질문 또는 피드백 남기기
- 새로 열린 Pre-Testnet 미션이 있다면 최대한 빨리 참여
- Sphinx 관련 정리글, 튜토리얼, 리뷰 등을 1건 이상 제작 (블로그, Medium, X 등)
- XP 지급 공지 및 랭크 변동 여부 확인
8. 지금 바로 시작하려면 – 공식 링크 모음
- Sphinx Discord : https://discord.com/invite/sphinxprotocol
- Sphinx Telegram : https://t.me/SphinxProtocol
- 공식 Medium (공지·에어드롭 상세) : https://sphinx-protocol.medium.com
9. 결론
XP = 랭크 = Testnet 부스트 = 에어드롭
Sphinx Protocol은 단순한 “에어드롭 이벤트”가 아니라, 장기 XP 인센티브 시스템과 실제 파생상품 인프라를 동시에 구축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구조를 한 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금 활동 → Pre-Testnet XP → 랭크 & 부스트 → Testnet XP → 최종 에어드롭
당장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액션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 Telegram & Discord 가입 후 /pair로 계정 페어링
- 하루 10~20분 정도의 자연스러운 커뮤니티 활동
- 새로운 미션·AMA·공지 위주로 꾸준히 참여
에어드롭 관점에서 보면, Sphinx는 초기부터 오래 함께한 참여자일수록 유리한 설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리스크를 크게 지지 않고 시간을 조금씩 투자해 “포지션을 하나 깔아둔다”는 마음으로 접근해 보는 것도 충분히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이상의 소개글이
Sphinx Protocol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