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USCPA Exam 각종 통계 (2) - USCPA 시험 얼마나 합격하나 (출원자 대비 최종합격률, KI와 비교포함)
오늘 살펴볼 통계자료는 얼마나 많은 수의 수험생들이 USCPA 시험에 도전하고 또 결실을 맺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먼저 범례항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보고 갑니다.
- Cohort Size : 해당 년도에 USCPA 시험을 최초로 응시한 응시생의 수를 말합니다
 - Pass 4th : 해당 년도에 마지막 과목을 합격하여 최종 합격한 응시생의 수를 의미합니다.
 
상단의 그래프를 보시면 두 개의 항목에 대해 동일하게 2006년부터 2010년가지 쭉 증가하다가 2011년 전년 대비 20% 하락을 기록한 후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응시생 수 감소는 아무래도 2011년에 도입된 CBT-e 때문이겠죠. 일단 지켜보고 응시하자는 심리가 우세했을 겁니다.
| 
 year  | 
 Cohort Size  | 
 Pass 4th  | 
| 
 2006  | 
 36,136  | 
 16,716  | 
| 
 2007  | 
 38,398  | 
 20,240  | 
| 
 2008  | 
 40,688  | 
 23,961  | 
| 
 2009  | 
 44,128  | 
 26,340  | 
| 
 2010  | 
 49,515  | 
 29,651  | 
| 
 2011  | 
 39,010  | 
 23,845  | 
| 
 2012  | 
 41,820  | 
 26,178  | 
| 
 2013  | 
 42,755  | 
 27,004  | 
첫응시와 최종합격까지 시차가 존재하므로, 단순히 최종합격으로 가는 비율을 산출해내기는 곤란하지만 해당 년도의 Pass 4th/Cohort Size 의 비율을 보는 것으로도 어느 정도 감은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 표에 나오는 2006~2013년 사이의 데이터만 가지고 본다면, 동기간내에 USCPA 시험을 도전한 인원이 332,450명이고, 동기간에 최종합격한 인원이 193,935명으로 최종합격 비율을 단순히 산출해보면 58% 이릅니다.
그럼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한마디로 도전 해볼만한 시험이라는 점입니다. 결코 시험이 쉽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하지만 노력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시험이라는 것이지요. 물론 소요 기간은 상이하고 꽤 걸리는 경우도 있겠지만 포기하지 않고 해나간다면 확실한 결과를 보여준다는 의미입니다.
한국공인회계사 시험의 경우를 볼까요?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동기간내 1차시험에 접수한 인원이 75,761명, 최종합격자수가 7,629명입니다. 단순히 보자면 그 비율은 10.07% 입니다(1차 시험에는 여러 번 접수한 경우도 있지만 이런 점까지 다 고려할 수는 없으므로 이런 부분을 감안하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year  | 
 1차 접수자수  | 
 최종합격자수  | 
| 
 2006  | 
 9,008  | 
 1,007  | 
| 
 2007  | 
 4,444  | 
 830  | 
| 
 2008  | 
 6,234  | 
 1,040  | 
| 
 2009  | 
 9,102  | 
 936  | 
| 
 2010  | 
 11,956  | 
 953  | 
| 
 2011  | 
 12,889  | 
 961  | 
| 
 2012  | 
 11,498  | 
 998  | 
| 
 2013  | 
 10,630  | 
 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