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명령프롬프트에서 ipconfig 입력하여 아래와 같이 사설 IP와 공유기 접속 주소를 확인한다.
C:>ipconfig
Windows IP 구성
무선 LAN 어댑터 Wi-Fi:
연결별 DNS 접미사. . . . :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cc0b:9bf2:fec5:422c%18
IPv4 주소 . . . . . . . . . : 172.30.1.31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172.30.1.254
기본게이트웨이 주소인 172.30.1.254 를 웹브라우저에 입력하여 공유기 관리 홈페이지로 접근한다. 이렇게말고 homehub.kt.com:8899 로도 접속이 가능하다.
관리자아이디 및 비번 초기값은 다음과 같다. ktuser / homehub

기본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변경할 ID 에도 입력해야 정상적으로 변경된다.

만약 제대로 로그인되지 않는 경우 초기화를 하면 되고, 초기화 이후 비밀번호는 공유기 하단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바뀐 아이디/비밀번호로 다시 로그인하자.
장치설정 > 트래픽관리 > 포트포워딩을 선택한다.

내부 ip 주소는 서비스가 설치된 컴퓨터의 IP 주소로 여기서는 라즈베리파이의 주소를 의미한다. putty 를 통해 ssh 접속을 할 것이므로, 외부포트 및 내부포트에 22를 입력하고 프로토콜을 TCP로 설정한 뒤 적당한 이름을 붙이고 추가한다.
다음으로 외부에서 접속시 필요한 호스트네임을 찾을 차례이다. 상태정보 > 인터넷연결정보 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이 외부 IP 주소 정보를 찾을 수 있다.

그러면 putty 를 사용하여 다른 대역의 PC 에서 접속을 시도해보자. 호스트네임에 위의 ip 주소를 입력하고 연결한다.

다음과 같이 security alert 윈도우가 뜨면 접속을 허용한다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었음을 볼 수 있다.

'Season 1 아카이브 >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나루케 마코토, <책장을 정리하다> - 교양이 깊어지는 책 선택법과 독서법 (0) | 2020.10.21 |
|---|---|
| 우분투 20.04 에 Django 웹 프레임워크 설치하기 How To Install the Django Web Framework on Ubuntu 20.04 (0) | 2020.07.20 |
| 2020년 2분기 학점은행 학습자등록·학점인정신청 접수계획 (0) | 2020.04.13 |
| 구글 기프트에 당첨되셨습니다! 구글 멤버쉽 상품@ creditsupport (0) | 2020.04.07 |
| 레딧 API 앱 생성 How to create Reddit API Application (0) | 2020.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