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루아의 반서재

728x90

2장 계획적 살인 : 살인 충동의 심리

후광효과 halo effect 와 악마효과 devil effect

후광효과는 더 매력적인 사람이 더 산뢰할만하고, 야심도 더 크고, 더 건강하다는 가정은 사회적으로 뿌리 깊게 박힌 편견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매력적인 사람이 더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이와는 정반대의 이면도 존재하는데, 악마효과는 한 측면에서 바람직못한 사람은 다른 모든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믿게 만든다.

 

다름

얼굴에 결함이 있는 사람은 오랫동안 괴롭힘을 당하고 공개적인 조롱을 받아왔다. 사람들은 왜 이런 잔인한 일을 저지를까?

먼저 하나는 기형과 비대칭성은 유전 질환이나 유전적 나약함의 징표일 수 있다는 진화적 측면의 기본적인 주장이 있다. 사람은 생식 능력이 있고, 자신을 감염시킬지도 모르는 사람은 멀리한다. 하지만 이 주장은 어떤 사람들을 회피하는 이유를 설명하기에는 가능하나 우리가 그런 사람들을 잔인하게 대하는 이유는 설명하지 못한다. 

이와는 달리 얼굴을 조각별로 인식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카트리나 핀처와 연구진은 2017년 발표한 논문에서 우리가 얼굴을 인식하는 방식이 그 사람을 비인간화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별히 두드러지는 부분이 없는 얼굴을 인식할 때는 그 얼굴을 통째로 한꺼번에 받아들인다. 그 얼굴을 하나의 전체로 인간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정상적이어서 우리의 관심을 사로잡는 요소가 발견된 순간 우리는 얼굴을 해체하기 시작하고 그 사람을 해체하기 시작한다. 연구진은 이것을 구성처리 configural processing특징처리 featural processing 로 전환되는 것이라고 한다. 이 현상은 인식에 의한 비인간화로 가혹한 형벌을 내리는 등 해를 가할 수 있게 만든다. 

 

3장 기괴한 모습 : 무엇이 우리를 소름끼치게 하는가

중요성 간극 

로이 바우마이스터와 키스 켐벨에 따르면 피해자와 가해자가 잘못된 행동을 인식하고 경험하는데서 나타나는 차이 때문에 웃음이 소름 끼치게 느껴질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은 바우마이스터가 말하는 '중요성 간극 magnitude gap' 과 관련이 있다.

중요성 간극의 본질은 가해자의 이득보다 피해자의 상실이 더 크다는데 있다. 예를 들어 도둑이 무언가를 훔칠때 피해자의 대체가치는 일반적으로 도둑이 그것이 팔아서 얻는 대체가치보다 크다. 강간범은 짧은 시간 동안 자신의 권련이 상승하는 쾌락을 느끼겠지만 피해자는 여러 해에 걸쳐 고통을 받는다. 

이런 불균형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런 중요성 간극 때문에 피해자는 가해자의 행동을 불필요한 행동으로 묘사할 때가 많다. 하지만 피해자의 관점이 아니라 가해자의 관점에서 보면 그런 행동의 중요성이 훨씬 덜해 보일 수 있다. 가해자의 심리를 이해하려면 피해자의 관점과 거리를 두고 바라볼 필요가 있다.

악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일반적으로 피해자의 편을 들어 그들의 관점에서 피해를 바라보게 된다. 사정이 그렇다보니 가해자들은 웃음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반면 피해자는 웃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사악한 웃음은 소름 끼침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중요성 간극의 궁극적 표현이기 때문이다. 

 

4장 기술의 두 얼굴 : 기술은 우리를 어떻게 바꾸는가

봇 윤리학 

캐롤라이나 셀지와 니콜라스 베렌테는 2017년 봇 윤리학 bot ethics 을 위한 새로운 법적 틀을 제안했다. 이것은 소셜미디어 봇의 행위가 비윤리적인지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들은 이렇게 설명한다. "소셜 봇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흔하다. 트위터에 존재하는 봇 계정은 대략 2300만개다. 이는 총 사용자의 8.5%에 해당한다. 그리고 페이스북의 봇 계정은 대략 1억 4000만개 정도로 추산된다. 이는 총 사용자의 1.2~5.5퍼센트에 해당한다. 인스타그램 사용자 계정 중 8.2퍼센트에 해당하는 약 2700만개가 소셜 봇으로 추정된다."

스티븐 호킹은 인공지능이 인류를 완전히 대체할까 봐 두렵다고 했다. 그는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로 자기 개선 시스템 self-imporving system을 꼽았다. 인공지능의 실질적 위험은 악의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RAT 겅쟁

사이버 일상활동이론 Cyber-RAT는 범죄를 누가 저지르느냐보다는 범죄가 어디서 저질러지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는 우리가 어디서 시간을 보내느냐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온라인 쇼핑을 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이 사기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쉬운 표적이 있으면 좀처럼 그러지 않을 것 같은 사람도 범죄자가 될 수 있다. 

온라인상에서는 타인을 비인간화하기가 더 쉽기 때문에 사이버범죄도 더 쉬워진다. 타인을 더 이상 인간으로 보지 않으면 더 끔찍한 일도 서슴없이 할 수 있다. 온라인 활동은 육체와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경험이다. 인터넷은 좋든 싫든 우리를 육체적 자아로부터 자유롭게 해준다. 

사이버 범죄의 피해자가 되는데는 가시성 visibility 이 분명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가시성이란 트윗을 올리고, 메시지를 보내고, 블로그를 운영하는 등의 활동을 말한다. 온라인에서 많은 장소를 돌아다닐수록 어느 시절에 가서는 우리에게 해를 입히고 싶어하는 누군가를 우연히 마주칠 확률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것이다. 

악플의 흔적

정상화 normalisation 는 우리 중 많은 사람이 무언가를 하고 있으면 그것이 부적절한 것이라도 마치 정상적인 것처럼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화는 다른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함께 따라해도 부정적인 결과가 생기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는 의미도 있다. 우리는 정상과 어긋나는 행동을 두려워할 때가 많다. 자신이 괴롭힘의 표적이 되기는 원치 않기 때문이다. 

우리 안의 악마
국내도서
저자 : 줄리아 쇼 / 김성훈역
출판 : 현암사 2020.01.23
상세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