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02. Loading a Corpus (txt, pdf, word)
2014. 11. 18.1. Corpus 로딩분석의 대상이 되는 문서의 포맷은 다양하지만, 우리가 앞으로 사용하게 될 tm 패키지는 꽤 많은 포맷을 지원한다. text, PDF, Microsoft Word, XML.의 포맷을 포함한다. 2. Corpus Sources and Readers1) sources> getSources()[1] "DataframeSource" "DirSource" "URISource" "VectorSource" "XMLSource" 2) readers - 텍스트 분석 결과는 다음의 포맷 등으로 표현가능하다> getReaders()[1] "readDOC" "readPDF" "readPlain" "readRCV1" [5] "readRCV1asPlain" "readReut21578XML" "readReut2..
후쿠오카 신이치, 「동적평형」- 왜 뇌가 전기라는 귀찮을 것 같은 방법을 채택했는가
2014. 11. 18.새로운 신경회로가 형성된다는 말은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경과 신경이 촉수를 뻗어 접점이 생기고, 거기에 반복적으로 전류가 흘러 자극이 강화됨으로써 그 접점이 보다 견고해지는 것을 말한다. 이 접점을 시냅스라고 한다. 마이크로적인 차원에서 보면 시냅스는 뉴런과 뉴런이 완전히 붙어있는 상태가 아니라 사이에 아주 작은 틈이 벌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쪽 뉴런에 전기가 통하면 그 신호는 다른 한쪽의 뉴런으로 전달되는데 틈 때문에 전류가 직접 흐르지는 못한다. 틈새 부분에는 한쪽 뉴런에서 방출된 화학물질이 다른 뉴런으로 전해짐으로써 신호가 전달된다. 그것이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뉴런을 따라 흐른다. 전기-화학물질-전기, 왜 뇌가 전기라는 귀찮을 것 같은 방법을 채택했는가는 수수께끼로 남아있지만, 중간에서 ..
후쿠오카 신이치, 「동적평형」- 건강환상
2014. 11. 18.음식으로 섭취한 단백질이 몸 어딘가로 전해져 거기서 부족한 단백질을 보충한다는 생각은 참으로 초보자적인 생명관이다. 이는 생명을 작은 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장난감처럼 생각하는, 어떤 의미에서 본다면 순진하기 그지없는 기계론이기도 하다. 생명은 그런 단순한 기계론을 훌쩍 뛰어넘는 이른바 동적인 효과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건강 환상'은 사실 곳곳에 존재한다. 단백질뿐만 아니라 음식물 속에 들어있는 정보는 소화관 내에서 일단 철저하게 분해된다. 관절이 아프다고 해서 주성분인 콘트로이틴유산이나 히알루론산을 섭취한다 한들 입으로 들어간 것이 그대로 직접 몸의 일부가 될 수는 없다. 구성단위로까지 분해되거나 자칫하면 소화도 되지 못하고 배설되고 마는 것이다. 참고로 한 마디만 더하자면, 항간..
호리에 다카후미, 「제로」- 4, 5_일하는 것은 자유로 가는 패스포트
2014. 11. 16.4_자립 끝에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1) 고통스럽기에 단순하게 생각한다'고민한다'는 것은 사물을 복잡하게 만들어가는 행위다. 한편 '생각한다'는 것은 사물을 간소하게 만드는 행위다. 단순한 과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당신의 마음이며 흔들리는 감정이다 2) 성장사이클로 돌입하라도전 - 리스크를 선택하고 맨 첫걸음을 내딛을 용기노력 - 0에서 1로 가는 착실한 덧셈성공 - 덧셈의 완료 성공하고 싶다면 도전하라. 도전하고 전력으로 달려라. 그 전력 질주를 사람들은 '노력'이라고 말한다. 5_내가 일하는 진짜 이유 1) 감옥안에서도 나는 자유로웠다사고에는 족쇄를 채울 수 없다. 하지만 생각을 멈추면 자신도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사고 정지 상태에 빠지고 만다. 그들은 사고력을 상실해버린 만큼 돈이나 권력에 집..
호리에 다카후미, 「제로」-3_돈 때문에 일하는가
2014. 11. 16.3_돈 때문에 일하는가 1) 당신은 무엇을 위해 일하는가인생에서 일은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 중 하나다. 그것을 인내의 시간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바람직하지 않다. 2) 돈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 어떻게 일할 것인가- 먼저 생각할 것은 왜 '복권 1등이 당첨되면 회사를 그만두고 남쪽 섬에서 느긋하게 살고 싶다'는 발상이 나오는가 하는 점이다. 대답은 분명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노동'을 돈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소모되는 '시간'을 돈으로 바꾸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시간이 무진장 어딘가에서 솟아나는 것이라면 문제될 게 없다. 마음껏 시간을 희생해도 좋다. 그러나 시간은 유한하다. 개인적인 시간까지희생하면 당연히 일에 구속당하고 돈에 속박당한다는 의식이 강해진다. 이..
호리에 다카후미, 「제로」- 0,1,2_'밖'으로 뛰쳐나와라!
2014. 11. 16.0_그래도 일하고 싶다 1) 지금 '일한다'는 것에 대해 생각한다당신은 현재 '제로'인 백지상태에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제로에 어떤 수를 곱해도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제로 밖에 없다. 따라서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우리가 출발선 위에 설 때는 '곱셈'이 아닌 '덧셈'으로 시작해야 한다. 1_일해라! 어머니는 말했다1) 이 곳에서 벗어날 방법은 도쿄대 진학 밖에 없다.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답답하고 지루한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공부밖에 없었다. 그리고 누구든 수긍할 수 밖에 없는 명백한 결과를 남겨야 했다. 2) 공부는 부모를 설득하는 도구였다2_일을 선택하고 자신을 선택한다1) 일과 인생에 두려움을 느끼는 이유그것은 오로지 '경험'의 문제다. 그리고 경험이란 ..
고도 도키오, 「하루 시간 사고법」- <4장> 정보는 정리한 순간 죽는다
2014. 11. 16.시간을 자산으로 바꿔주는 결정적 습관 1. 시간대비 효과를 중시하라1) 망설이는 시간이 아깝다2) 도중에 그만두는 용기도 필요하다 2. 30대 이후의 공부방법은 다르다 - 아웃풋 사고의 중요성 3. 책 값은 자신을 위한 최고의 투자1) 책 값으로 쓰는 돈은 유효하다 - 나중에 '역시 사자'는 생각이 들어 서점에 가보면 점찍었던 책은 더 이상 눈에 띄지 않기 십상이다.2) 동시에 정반대의 주장이 담긴 책을 읽는다 (카츠마 카즈요도 이 점을 강조했죠. 양 극단의 입장과 중도적인 입장 모두 살펴보라는)3) 접근법이 다른 책을 고른다 - 실증데이터를 근간으로 한 것과 저자의 주장이 중심을 이루는 책을 같이 읽는 식이다 4. 책상은 크게, 서재는 높게혼잡한 책상 위에서 새로운 가치가 태어난다 - 정보가 섞여 화학..
고도 도키오, 「하루 시간 사고법」- <3장> 당신은 '사고정지 상태' 에 빠져있지 않은가?
2014. 11. 16.일 잘하는 사람의 역발상 시간관리 노하우 1. 손해보는 습관을 점검하라당신은 '사고정지 상태' 에 빠져있지 않은가? 2. 책상 위에 하던 일을 펼쳐두고 퇴근하라1) 일을 펼쳐놓은 채 회사를 나오면 문제의식의 안테나가 접히지 않고 선 상태2) 일 도중이라면 문제의식도 지속된다 3. 매일 아침 신문을 읽는 것은 시간 낭비 - 시사적인 정보는 무익하다단순한 사실정보의 수집에 귀중한 아침 시간을 빼앗기지 않는다.매일 아침이 아니라 일주일 치의 신문을 한꺼번에 읽으면 시간의 추이는 물론이고 무슨 사건이 어떤 식으로 해결됐는지, 어떤 보도가 어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일주일치 신문을 30분에 읽는다) 4. 텔레비젼 뉴스를 보는 것은 손해 - 텔레비전 시청은 사고정지 상태를 부른다 하루 시간..
고도 도키오, 「하루 시간 사고법」- <2장> 짜투리 시간은 애초에 만들지 않는다
2014. 11. 16.버리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시간관리의 절반이다 1. 짜투리 시간은 애초에 만들지 않는다 2. 고민이 지나치면 시간만 낭비하는 꼴낮은 확률을 부풀리지 않는다 - 망상이라는 허깨비를 키우지 마라 3. 완벽보다는 '적당'을 권한다 & 한 가지 일은 세 번에 걸쳐서1) 일단 마지막까지 끝내라. 2) 한 가지 일은 세 번에 걸쳐서 - 일을 세 번에 걸쳐 한다는 생각으로 일정을 짜두면 결과적으로 퀄리티도 속도도 동시에 잡을 수 있다. 의 내용은 아타카 가즈토의 생각과 흡사하네요. 하루 시간 사고법국내도서저자 : 고도 도키오 / 박재현역출판 : 흐름출판 2010.06.07상세보기
고도 도키오, 「하루 시간 사고법」- <1장> 시간의 밀도'는 속도와 퀄리티를 한꺼번에 해결한다.
2014. 11. 16.'짜투리 시간을 당연히 여기는 사람'은 실패를 되풀이 할 수 밖에 없다.당신에게 남아있는 삶의 시간은 얼마인가요? 잠을 줄이지 않고도 시간을 만들 수 있다. 1. 잠자는 시간 꼭 바꿔야 하는가?호리에 다카후미도 말했듯이 '잠은 충분히 잔다. 8시간을 자고 나면 남는 시간은 16시간, 남아있는 시간이 더 적으므로, 더 밀도있게 보낼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저자도 잠을 줄이면 흐리멍텅한 상태로 깨어있어 별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래 지속하지도 못한다고 말한다. 2. 시간을 알차게 쓰려면 환경정비부터1) 주변 환경정비2) 자신을 몰아세운다 - 스즈키 이치로는 '중압감을 느끼는 선수라는 사실이 자랑스럽다'라고 말했다. 중압감이 없는 생활은 누구도 그에 대해 기대하는 바가 없는 그저그런 삶이라는 말과 같다. 3...
후쿠오카 신이치, 「동적평형」- 생명활동이란 아미노산 배열의 헤쳐모여(합성과 분해의 동적인 평형상태가 '살아있다는 것')
2014. 11. 15.소화관은 우리의 피부가 안으로 함몰된 속이 빈 구조체이며 마치 가운데 구멍이 뚫린 어묵과도 같다. 소화관 벽은 일종의 담이며, 소화관 벽을 구성하는 세포는 서로 밀착하여 단백질이 통째로 그곳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즉, 다른 개체의 정보를 보유한 단백질은 신체의 '외부'에만 머무를 수 있다. 그래서 단백질은 아미노산 단위까지 분해되고 아미노산만이 특별한 수송기구에 의해 소화관 벽을 통과해 비로소 '체내'로 들어간다. 체내로 들어간 아미노산은 혈류를 타고 온 몸의 세포로 운반된다.. 그리고 세포로 흡수되어 새로운 단백질로 재합성되며 새로운 정보 = 의미를 만들어낸다. 즉, 생명활동이란 아미노산이라는 알파벳에 의해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애너그램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단백질이 합성되는 한편, ..
후쿠오카 신이치, 「동적평형」- 리틀 브레인
2014. 11. 15.우리는 오로지 자신의 사유는 뇌에 있으며 뇌가 모든 것을 조절하고 뇌는 모든 실제 감각과 환상을 만들어 낸다고 생각하지만 그건 실증된 것이 아니다. 소화관 신경회로망을 리틀 브레인이라 부르는 연구자도 있다. 게다가 그것은 뇌에 비해 절대 작지 않은 대규모 시스템인 것이다. 우리는 어쩌면 소화관으로 느끼고 사고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동적평형 국내도서저자 : 후쿠오카 신이치 / 김소연역출판 : 은행나무 2010.03.24상세보기
후쿠오카 신이치, 「동적평형」-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음식(소화라는 기능의 본질)
2014. 11. 15.우리가 음식으로 섭취하는 것은 고기든 곡물이든 과실이든, 모두 그 근원은 다른 생물의 몸의 일부였던 것이다. 왜 우리는 다른 생명을 빼았으면서까지 단백질을 섭취해야 하는 것일까? 단백질에는 원래의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던 당시의 정보가 꽉 들어차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정보란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백질의 구조를 뜻한다. 이 단백질의 구조 정보가 생명의 기능을 지탱해준다. 단백질이란 아미노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이다. 생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20종이며, 그 조합이 '정보'가 된다. 때문에 단백질은 수천만 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단백질의 섭취, 즉 '소화'란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고기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은 입속에서 잘게 씹히고 부서져 소화관으로 보내지며 소화효소..
01.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을 위한 패키지 준비
2014. 11. 14.본격적인 텍스트 마이닝에 앞서 아래 패키지들이 설치되어 있는지 먼저 확인한다.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install.packages("tm") 과 같은 식으로 설치한 후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 library("tm") > library("SnowballC") > library("RColorBrewer") > library("ggplot2") > library("Rgraphviz")> install.packages("Rgraphviz")Installing package into ‘C:/Users/fukaeri/Documents/R/win-library/3.1’(as ‘lib’ is unspecified)Warning in install.packages : package ‘Rgraphviz’ is not ..
Plot geoms(geometric objects) (1) - 추세선 그리기 (span, gam, lm, rlm)
2014. 11. 9.Geom(geometric object)은 데이터를 보여주는데 사용되는 객체의 유형으로, gplot 은 산포도에 다양한 형태의 geom 을 표현할 수 있다.이 외에도 "histogram", "freqpoly", "density", "bar" 등 다양한 객체가 존재한다. geom 설명 "point" 산포도에 사용. qplot() 사용시 기본값 "smooth" 데이터의 추세선을 나타내고, 표준오차의 정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 "boxplot" 상자그림, 상자수염도, 분포를 요약해서 나타내는 데 사용 "path", "line" 데이터 포인트 사이에 선으로 연결. line 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려지는 반면, path 는 어느 방향으로든지 가능하다. 1. 추세선 그리기 무수한 데이터 포인트로 이루어진 산포도로는..
ggplot2 패키지 설치 및 기본사용법
2014. 11. 9.※ 본 예제에 사용하는 diamonds dataset 는 ggplot2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다. ※ ggplot2 패키지의 설치는 다음과 같이 한다. > install.package('ggplot2') 위 데이터는 정제되지 않은 데이터이므로 아래와 같이 랜덤으로 100개의 샘플을 뽑아낸 dsmall 이라는 dataset 를 이용해서 얘기를 전개해나가고자 한다. > library("ggplot2", lib.loc="~/R/win-library/3.1") > set.set(1410) Error: could not find function "set.set" dsmall qplot(carat, price, data = diamonds) 2. qplot() 은 아래와 같이 변수의 함수를 인수로 가질 수 있음 > ..
후쿠오카 신이치, 「동적평형」- 왜 배워야 하는가
2014. 11. 4.1. 왜 배워야 하는가그 곳에서 나는 '왜 배워야 되는가'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우리가 사는데 학교 같은 곳에서 공부하는 것보다 사회에서 직접 체득할 수 있는 직감이나 경험이 훨씬 유익하지 않을까- 아니, 그건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나도 예전에 고등학생일 때 이 문제에 대해 여러분처럼 심각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에야 비로소 이런 말을 할 수 있게 되더군요. 『우리가 배우는 이유는 우리를 규정하는 생물학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다 』라고 말이죠. 2. 우리의 목적은 생존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우리는 관계없는 많은 것들에 인과관계를 부여하곤 한다. 왜 그럴까? 새삼스레 차이를 강조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한 다음, 관찰하거나 혹은 무작위로 진행되는 자연현상을 인위적으로 연관시켜야만 오..
후쿠오카 신이치, 「동적평형」- 기억은 어디에 있는 걸까? 시간도둑의 정체
2014. 11. 4.1. 기억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과거란 현재이며, 그리운 것이 있다면 그건 과거가 그리운 것이 아니라 지금 그립다는 상태에 있는 것에 불과하다. 뭔가가 생생하게 기억난다면 과거가 생생한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 생생한 감각 속에 있는 것이다. 우리가 선명하게 기억하는 젊은 시절의 기억은 여러 번 기억을 떠올려 본 적이 있는 기억이다. 당신이 몇 번이고 떠올리고 그 때마다 아련하게 그리워했으며 동시에 조금씩 바꿔온 그 무언가이다. 그렇다면 기억이란 무엇인가? 지금까지 말해온 것처럼 세포의 내부는 끊임없는 변천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기억을 물질적으로 저장해두기란 곤란하다. 그렇다면 기억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그것은 아마 세포 바깥일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세포와 세포 사이에 말이다. 신경세포는 시냅스라는 ..
데이터 읽기, 데이터 프레임, 세분화, 요약 (Data Handling)
2014. 11. 1.1. 텍스트 포맷으로 저장하기1) 엑셀의 데이터를 R 로 가져오기 위해 text 포맷으로 저장한다. 2) 엑셀 프로그램에서 파일 > 다른이름으로저장 > 파일 형식에서 '텍스트 (탭으로 분리)' 선택 2. R 에서 데이터 읽기1) read.table 을 이용해서 R 로 읽어들일 수 있다. > degrees = read.table(file.choose(), sep = "\t", header = TRUE) // sep = "\t" 는 탭으로 구분된다는 의미이고, header = TRUE 는 첫번째 행에 변수 이름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파일을 선택하는 팝업이 뜨면 읽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된다. 3. 데이터 프레임1) 이렇게 읽어들인 값은 data frame 라는 형태로 저장된다. 2) 데이터 프레임은 변..
Information Visualization (15) - R 그래픽 기초 (직선그래프 영역채우기)
2014. 10. 29.> y // y x=1920:1970> plot.new() > plot.window(xlim=c(1920,1970), xaxs="i",ylim=c(46.5,55.5), yaxs="i") > abline(v=seq(1930,1960,by=10), col="gray") //배경 그리드 그리기> abline(h=seq(48,54, by=2), col="gray")> xx=c(1920,x,1970) > yy=c(46.5,y,46.5)> polygon(xx,yy,col="gray") // 다각형 그리기> axis(1)> axis(2, las=1)> box()>
Information Visualization (14) - R 그래픽 기초 (그래프 그리기 Line Graphs, Curves)
2014. 10. 29.1. 직선 그리기 > plot.new()> plot.window(xlim = c(1, 4), ylim = c(0, 3)) > x = c(1, 2, 3, 4)> y = c(0, 2, 1, 3)> lines(x, y)> axis(1)> axis(2)> box()2. 곡선 그리기 특정 구간 사이에 y = f (x)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는 경우가 많은데,하나의 방법은 해당 구간을 잘게 잘라 직선의 모음으로 보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정규분포곡선을 그릴 수 있다. > x = seq(-3, 3, length = 1000) // 해당 구간을 1,000개로 쪼갠다> y = dnorm(x) > plot.new()> plot.window(xlim = range(x), ylim = range(y))> lines..
Information Visualization (13) - R 그래픽 기초 (축 axis)
2014. 10. 29.1. 축과 주석 axis(1, at=1:4, lab=c("A", "B", "C", "D"))예제의 경우 x축 1, 2, 3, 4 에 tick mark 가 위치하고 각각에 "A", "B", "C", "D" 라고 라벨을 붙인다는 의미- las=. 라벨의 로테이션 결정 (기본값은 0 이며 값에 따라 다음과 같다) las=0 : 항상 축과 평행(parallel) las=1 : 항상 수평(horizontal) las=2 : 항상 축에 대해 수직(perpendicular) las=3 : 항상 수직(vertical) 2. 축의 최대, 최소값 설정 plot.window(xlim=c(0,1), ylim=c(10,20), xaxs="i")- xlim, ylim : x 축, y 축 각각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지정하는 것으로 ..
Information Visualization (12) - R 그래픽 기초 (텍스트, 범례)
2014. 10. 25.1. 텍스트 넣기 text(x, y, labels)- x, y : 텍스트가 위치하는 좌표- labels : 삽입되는 문장- col : 텍스트 색깔- srt : 문장의 방향 (수평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각도)- adj : 위치조정 > plot.new()> plot.window(xlim = c(0, 5), ylim = c(0, 10))> axis(1)> axis(2)> box()> text(1,2,"text",srt=0)> text(2,3,"text",srt=90)> text(3,4,"text",srt=180)> text(4,5,"text",srt=270)> text(3,5,"text",srt=180, adj=1) 2. 범례 legend(xloc, yloc,legend = c("Exact", "Approxi..
Information Visualization (11) - R 그래픽 기초 (도형 그리기)
2014. 10. 25.1. 화살표 그리기 arrows(x0, y0, x1, y1, code=int, length=num, angle=num)- x0, y0, x1, y1 는 시작점과 끝점을 의미- code 1 : 화살표가 그려지는 지점이 시작점 2 : 끝점에 그려짐 3 : 선의 양쪽에 화살표 그려짐- length – 화살표의 길이 (단위는 인치)- angle - 화살표의 각도 > plot.new()> plot.window(xlim = c(0, 5), ylim = c(0, 10))> axis(1)> axis(2)> arrows(1, 2, 4, 6, code=2, length=1, angle=45)> 2. 사각형 그리기 rect(x0, y0, x1, y1, col=str, border=str)- x0, y0, x1, y1 은 아..
Information Visualization (10) - R 그래픽 기초 (선 그리기 Adding Disconnected Lines Segments To A Plot)
2014. 10. 24.기본형태 segments(x0, y0, x1, y1) * x0, y0 - 시작점의 좌표 x1, y1 - 끝나는 점의 좌표* 라인모양, 색상, 폭 등 설정 가능 > plot.new()> plot.window(xlim = c(0, 10), ylim = c(0, 10))> axis(1)> axis(2)> segments(1,1,5,7)>
Information Visualization (9) - R 그래픽 기초 (선 그리기Drawing Straight Lines Across A Plot)
2014. 10. 24.기본형태 abline(a=intercept, b=slope) // a = y 절편, b= 기울기abline(h=numbers) // 수직선 긋기abline(v=numbers) // 수평선 긋기* 라인 형태, 색상, 폭 등의 인수는 기존 line() 함수와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함 > plot.new()> plot.window(xlim = c(0, 10), ylim = c(0, 10))> axis(1)> axis(2)> abline(2,1)> abline(v=2)> abline(h=6)> box()>
Information Visualization (8) - R 그래픽 기초 (선 그리기Adding Connected Line Segments)
2014. 10. 24.기본형태 lines(x, y, lty=str, lwd=num, col=str) 1. lty=int or name선의 스타일 (기본값 "solid")"blank", "solid", "dashed", "dotted", "dotdash", "longdash", "twodash" 등이 있으며 아래 샘플 참조. > plot.new()> plot.window(xlim = c(0, 10), ylim = c(0, 10))> axis(1)> axis(2)> lines(c(0,10),c(1,1),lty="solid")> lines(c(0,10),c(2,2),lty="dashed")> lines(c(0,10),c(3,3),lty="dotted")> lines(c(0,10),c(4,4),lty="dotdash")> lines..
오이겐 헤리겐,「마음을 쏘다 활」- 당신은 먼저 스스로의 거듭된 시도를 통해 좌절을 겪어야만 했습니다
2014. 10. 23.1."그게 안되는 이유는 숨을 바르게 쉬지 않기 때문입니다. 숨을 들이마신 뒤 가만히 호흡을 눌러서 배를 약간 팽팽하게 하고, 잠시 그대로 계세요. 그리고 나서 가급적 천천히 그리고 고르게 숨을 내쉬고, 잠시 멈춘 후 다시 빠르게 공기를 들이마시십시오. 내쉬고 들이쉼을 계속하는데, 그 흐름은 차차 저절로 정해질 것입니다. 이렇게 호흡을 올바로 하면 활쏘기가 날이 갈수록 쉬워짐을 느낄 것입니다. 호흡을 통해서 모든 정신적 힘의 원천을 발견할 뿐만 아니라 긴장을 풀수록 이 생물이 점점 더 풍부하게 흐르면서 더 가볍게 당신의 사지로 흘러드는 상태에 이를 것입니다." "당신이 애를 쓴다는 사실, 그에 대해 생각을 한다는 사실이 바로 문제입니다. 다른 일은 전혀 생각할 필요가 없으니 오직 숨쉬기에만 정신을 집중하..
Information Visualization (8) - R 그래픽 기초 (점 추가하기 Adding Points To A Plot)
2014. 10. 18.형식은 다음과 같음points(x, y, pch=int, col=str) pch점의 모양 결정하는 것으로, 1~25 사이의 값은 그래픽 심볼, 33~126 사이의 값은 아스키코드(ASCII code)에서 가져옴특히 21~25 사이의 값에는 경계선의 색(col=)과 배경색(bg=) 옵션 있음 이미지출처 http://www.statmethods.net/advgraphs/parameters.html 아스키코드 이미지출처 http://www.asciichars.com/ col "red", "lightblue" 등과 같이 경계선 색상 설정
Information Visualization (7) - R 그래픽 기초 (그래프 그리기 Producing The Graph)
2014. 10. 18.기본적인 그래프 생성 코드는 다음과 같다. plot.new() // 새로운 좌표 생성plot.window(xlim = c(0, 1), ylim = c(5, 10)) // x, y 좌표 범위 설정abline(a = 6, b = 3) // 절편이 6이고 기울기가 3인 직선그리기axis(1) // x축 그리기axis(2) // y축 그리기title(main = "The Overall Title") // 타이틀 입력title(xlab = "An x-axis label") title(ylab = "A y-axis label") box() // 박스 그리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