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 1 아카이브
앨렌 랭어,《마음챙김》- 맥락의 힘
2015. 12. 24.맥락은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고, 우리가 가진 마인드세트는 각각의 맥락을 어떻게 해석할지를 좌우한다. 맥락에 대해 생각할 때 우리는 흔히 그것이 '저기 어딘가'에 있긴 있다고 믿는 실수를 범한다. 어떤 문장을 '맥락과 상관없이' 끄집어내도 책에는 그 맥락이 남아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맥락은 우리와 상관없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맥락은 일종의 선입견이자 마인드세트다. 맥락은 우리가 오늘 어떤 사람인지, 어제 어떤 사람이었는지, 그리고 사물을 어떤 관점에서 보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버나드 쇼의 희곡 에 나오는 히긴스 교수는 초라하고 런던 사투리가 심한 일라이자 둘리틀을 완전히 바꾸어 놓기로 결심한다. 맥락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깨닫은 그는 일라이자의 목소리, 발음, 의상, 습관을 모두 바..
앨렌 랭어,《마음챙김》- 결과만 생각하는 교육
2015. 12. 24.우리가 걸핏하면 마음놓침 상태가 되는 이유를 어렸을 대 받은 교육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도 있다. 유치원부터 교육의 초점은 개개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이 아니라 목표 자체에 맞춰진다. 결과지향적 태도를 갖는 사람은 마음놓침에 빠지기 쉽다. 어떤 상황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알고 있다고 생각할 때 우리는 주의를 기울일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그 상황에 아주 익숙하게 반응할 때 우리는 적절한 각본대로 행동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단서만 감지한다. 반면에, 낯선 상황과 만나면 실패할지 모른다는 생각에 사로잡힌 나머지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섬세하게 감지하지 못하기도 한다. 우리는 바로 눈앞에 상황에 대해서 무심하다. 아직 오지도 않은 결과에 대해서는 꽤 열심히 생각하며서도 말이다. 결과에 집중하는 교육에서는 대개..
앨렌 랭어,《마음챙김》- 시야를 좁히는 마인트세트 : 엔트로피와 선형적 시간
2015. 12. 24.자원이 한정되어 있다는 느낌은 엔트로피 개념과도 관련이 있다. 엔트로피란 닫힌 체계 안에서는 조직화되어있던 요소들이 시간이 흐를수록 점진적으로 해체 또는 붕괴된다는 개념이다. 엔트로피 개념은 세계가 수명을 다해가는 하나의 커다란 기계라는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세상에 대해 다른 시각, 예를 들어 우리를 둘러싼 현실 중 많은 부분이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인식하는 시각을 가진다면 실제로 개인의 통제력이 늘어날 수 있다. 고정된 한계가 있다는 믿음은 많은 물리학자들의 견해와 양립하지 못한다. 제임스 진스와 아서 에딩턴 경에 따르면, 세계를 가장 잘 묘사하는 방법은 그것을 하나의 훌륭한 아이디어에 비유하는 것이다. 거기에는 계속해서 개선될 여지가 있다. 어떤 체계가 거의 완성된 듯이 보이는 순간, 지금으로서는..
내부표상 (Internal Representation)
2015. 11. 8.내부표상 (Internal Representation) 1. 우리는 외부 세계에 직접 반응하지 않는다. 각자는 우리가 사는 객관 세상에 대한 내부 표상을 창조한다. 세상에 대한 지도나 모델을 만들어 이에 따라 행동하고 반응하는 것이다. 세상에 대한 내부 표상이 세상에 대한 우리의 행동, 이해, 판단, 선택을 결정한다. 우리는 눈을 뜨고도 일종의 꿈을 꾼다. 오감으로 구성되는 이 내부의 꿈을 내부표상이라고 한다. 이 꿈을 통해 사물을 이해하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행동한다. 이 꿈의 내용을 사실이라고 믿고 경험한다. 우리는 결코 자신이 꾸는 꿈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우리는 결코 우리가 꿈 속에 있는 것을 모른다. [해석] ↓ [내부표상의 변화] ↓ [주관적 경험의 변화] ↓ [신체 생리반응의 변화] 우..